아이를 키우면서 가장 어려운 일 중 하나는 바로 '장점을 발견하고 칭찬하는 것'입니다.
"네가 잘하는 게 뭐가 있어?"라는 말을 아이에게 자주 하고 있다면, 이는 자신의 언어 수준과 안목을 점검해 봐야 한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.
남의 장점이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는 것은 결국 나가 상대방의 좋은 점을 알아보는 눈, 즉 안목이 부족하다는 뜻입니다.
아이의 장점이 보이지 않는다면 내 자신부터 점검해야 합니다
아이의 좋은 점이나 장점을 발견하지 못할 때, 문제가 있는 것은 아이가 아니라 부모일 수 있습니다.
자신이 가진 언어와 생각의 수준을 높일 때 비로소 아이의 좋은 점이 보이고, 진심으로 칭찬할 수 있는 단계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.
부모로서 책을 읽고, 좋은 글을 필사하고 낭독하는 습관을 갖추면 자연스럽게 아이를 보는 안목이 높아지고, 내 아이의 장점을 찾아내 칭찬하는 능력도 향상됩니다.
아이가 정말 듣고 싶은 말과 질문을 찾아주세요
많은 부모가 자녀를 사랑한다고 생각하지만, 막상 자녀들은 충분히 사랑받지 못했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.
나중에 자녀가 성장했을 때 원망과 불만을 듣고 싶지 않다면 미리 아이의 마음을 헤아리는 질문을 던져 보는 것이 좋습니다.
예를 들어, 아이에게 이렇게 물어보세요:
- "네가 나중에 어른이 됐을 때, 엄마가 어떤 질문을 해주면 좋겠어?"
- "엄마에게 듣고 싶은 말은 뭐야?"
이런 질문을 통해 아이의 마음을 미리 알 수 있고, 아이가 진정으로 원하는 공감과 격려를 해줄 수 있습니다.
믿음과 격려가 아이를 성장시키는 힘입니다
자녀에게 필요한 것은 부모의 믿음과 격려입니다.
실제로 아이들은 부모가 자신을 믿어줄 때 가장 안정감을 느끼고, 그 안정감 속에서 더 크게 성장합니다.
아이를 진심으로 믿고 칭찬하는 것은 단순히 의지의 문제가 아니라 부모 자신의 지적 수준, 즉 아이를 이해하고 믿을 수 있는 명확한 지점을 보는 능력에서 비롯됩니다.
자신의 지적 수준을 높이면 자연스럽게 아이를 더 깊이 믿게 되고, 그 믿음은 흔들리지 않는 견고한 믿음이 됩니다.
아이의 추억을 소중하게 생각하세요
아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그 나이에 맞는 삶을 살아가면서 많은 추억을 쌓는 것입니다.
철이 빨리 든 아이는 없습니다.
아이가 어른처럼 행동한다 해서 그 아이가 진정으로 성숙한 것이 아닙니다.
아이가 아이답게 살아갈 수 있도록 부모가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
부모와 함께한 행복한 순간들은 아이가 성인이 된 후에도 어려운 순간을 견딜 수 있는 큰 힘이 됩니다.
부모로서 아이와 나누는 일상적인 대화 속에서 좋은 질문과 격려의 말을 많이 해주세요.
아이를 키우는 부모를 위한 실천 방법 정리
- 아이의 장점을 발견하고 구체적으로 칭찬하기
- 아이가 듣고 싶은 질문과 말을 직접 물어보기
- 책 읽기, 글쓰기, 필사하기로 내 언어와 사고의 수준 높이기
- 아이의 정서적 안정감을 위해 믿음과 격려를 꾸준히 표현하기
- 아무런 참견이나, 의견달지 말고 아이가 하는 말 들어주기
- "오늘 학교에서 어땠어? 하고 물어주기
- 아이가 그 나이에 맞는 추억을 충분히 쌓을 수 있게 돕기
이러한 실천 방법을 통해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건강한 자존감과 행복감을 키워줄 수 있을 것입니다.
우리모두 처음부터 완성된 부모는 없습니다.
다만, 노력하는 부모와 그렇지 않은 부모로 나눨 뿐입니다.
아이와 부모가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육아가 되시길 바랍니다.
'건강한 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녀 체벌 후 올바른 사과 방법과 따뜻한 훈육법 (3) | 2025.04.14 |
---|---|
성조숙증, 왜 생기고 어떻게 치료할까? (1) | 2025.04.11 |
변이형 협심증, 증상과 원인 그리고 치료법 총정리 (1) | 2025.04.10 |
비타민 D 결핍 증상 10가지, 당신도 해당될 수 있습니다 (2) | 2025.04.09 |
치매 예방, 40대부터 시작해야 하는 이유|김희진 교수 강연 요약 (2) | 2025.04.09 |